![[자동투자 2.3] 매매 프로그램에서는 버퍼가 필요합니다 [자동투자 2.3] 매매 프로그램에서는 버퍼가 필요합니다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투자에서 버퍼란?
버퍼의 개념에 대해서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우리가 차트를 볼 때 주로 분봉, 시간봉, 일봉을 통해서 가격의 흐름을 봅니다. 차트는 가격이 변화한 결과이기 때문에 우리가 차트를 분석하여 투자전략을 세우고 자동투자 로직을 만들 때 일종의 버퍼를 만들어야 합니다.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로직이 있다고 생각해 봅시다.
2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가격이 그보다 위로 가면 LONG을 잡고 아래로 가면 기존 포지션을 청산하고 SHORT을 잡는다.
![[자동투자 2.3] 매매 프로그램에서는 버퍼가 필요합니다 [자동투자 2.3] 매매 프로그램에서는 버퍼가 필요합니다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위와 같은 로직을 가지고 투자를 하면 어떻게 될까요? 이동평균선에 가격이 도달하게 되면 우리는 수십 수백번의 청산과 포지션 진입을 경험하게 됩니다. 그도 그럴것이 가격은 한 방향으로 유려하게 움직이지 않습니다. 매수자와 매도자가 팽팽하게 경합하면서 수많은 가격의 변화를 가지고 추세를 만들어 냅니다. 그 안에서 끊임없이 진동하는 것이 가격이며 차트에서는 이 진동은 제대로 표시되지 않습니다. 그래서 우리의 로직은 다음과 같이 변경되어야 합니다.
2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가격이 이동평균선보다 2%를 초과할 경우 기존 포지션을 청산하고 LONG 포지션을 진입하고 이동평균선보다 -2%미만의 가격이 될 경우 SHORT 포지션을 잡는다.
이렇게 되면 중간에 마치 휴전선의 양 쪽으로 생성된 비무장지대와 같은 영역이 생성됩니다. LONG 포지션을 잡은 뒤에도 바로 이동평균선보다 2%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는 이상 포지션 변동없이 유지가 됩니다. 내려가는중에도 이동평균선에서 다시 반등하여 올라갈 수도 있고 실제로 많이 그렇게 가격이 움직입니다. 모두가 바라보는 이동평균선을 통과하였다는 것 자체가 단기간이라 할지라도 한 방향으로 추세가 만들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더불어 버퍼를 잡음으로써 우리에게는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 여기서 우리의 리스크는 가격의 약 4% 수준입니다. 처음 포지션에 진입한 후 반대방향으로 4%이상 가격변동이 발생하게되면 우리의 의지와는 별개로 포지션을 청산시켜버립니다. 이러한 로직을 통해서 우리는 더 큰 손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됩니다.
자동투자에서 버퍼의 설정은 불필요하고 빈번한 거래를 줄이고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측면에서 필수요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.
'프로그래밍 > 파이썬-바이낸스 자동투자 봇 만들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동투자] 황금선 20일 이동평균선 (0) | 2022.10.07 |
---|---|
[자동투자] 리스크관리를 어떻게 하시나요? (2) | 2022.10.07 |
[자동투자] 앞으로의 계획 (2) | 2022.10.07 |
댓글